일반적으로 네트웍 프로그램을 작성할때 대부분 소켓을 이용한다. 하지만 소켓을 사용할줄 안다는 것이 TCP/IP를 이해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대부분의 네트웍 프로그래머가 소켓이 왜 그렇게 처리 되고 있는지, 왜 그렇게 해야만 하는지에 대해서 모르는 실정이다. 이 책에선 좋은 네트웍 프로그램 (효율과, 안정성을 모두 보장하는) 을 만들기 위해선 어떠한 사항들을 신경써야 하는지 잘 정리해주고 있다. 윈속, 리눅스를 총 망라하는 데다가, 흔히 겪게 되는 네트웍 프로그래밍 실수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주고 있으므로, 큰 도움이 될 서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에서 다루는 내용을 간략하게 나열하자면 TIME_WAIT 상태에 대한 설명 이라던지, TCP/IP가 연결 닫기 정보를 통보하지 않는다는 점, 데이터 복사 효율..
CPPUnit: error C3505: cannot load type library ‘{80CC9F66-E7D8-4DDD-85B6-D9E6CD0E93E2}’ - What’s it? I just tried to compile CPP Unit Under Visual C++ 2008. Compiler. There was one problem When I tried to compile MFC Test Runner. MsDevCallerListCtrl.cpp .\MsDevCallerListCtrl.cpp(67) : error C3505: cannot load type library ‘{80CC9F66-E7D8-4DDD-85B6-D9E6CD0E93E2}’ .\MsDevCallerListCtrl.cpp(67) : f..
download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confirmation.aspx?familyId=e089ca41-6a87-40c8-bf69-28ac08570b7e&displayLang=en 요약Userdump.exe 도구를 사용하면 예외 오류와 함께 종료되거나 더 이상 응답하지 않는 프로세스의 사용자 덤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 예외가 발생하며 종료되는 프로세스의 .Dmp 파일을 만들려면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Program Files\Debuggers\Userdump 폴더에서 Userdump 도구에 포함된 Setup.exe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커널 모드 드라이브인 Userdump.sys 파일을 설치하고 제어판에 Process Dump 아이..
스트레스 테스트 예상한 것보다 훨씬 많은 행동을 시도하는 테스트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많은 부하가 발생했을 시에도 정상동작하는지 확인한다. 접속/해제 테스트 좀비 클라이언트가 남는지 확인한다. 접속/해제시 소켓 재사용 로직이 잘 처리되는지 확인한다. (최대 접속 가능 수가 5000이라고 치면, 5000개 이상의 클라이언트로 접속/해제 테스트를 수행한다) 로그인 / 로그 아웃 테스트 로그인 과정에서 끊길 수 있도록, 난수로 결정된 시간 값으로 클라이언트에서 디스커넥을 시도한다. 좀비가 남지 않는지 확인해야 하는데, 이 좀비는 위의 접속해제와 다른 것이 소켓 풀에서의 좀비가 아니라, 서버 로직상에서의 좀비를 확인해야 한다. 랜덤 (더미) 패킷 테스트 프로토콜에 전혀 맞지 않는 (비암호화) 무작위 생성 패킷을..
천재들은 대부분 영재인 경우가 많더군요. 해당 분야를 일찍 접하고, 그와 동시에 재능을 발휘해오며 천재 소리를 듣게 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대부분의 좋은 평가를 받는 프로그래머는 꼼꼼하고 성실해서 일을 잘 하거나, 경험이나 연륜에서 묻어 나오는 판단으로 좋은 결과를 내는 사람들이 대다수죠.하지만 천재들은 그런 경험 없이도 뛰어난 판단력과 통찰력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등학교 때 만난 한 친구는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 제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까지 생각한 능력을 보여주곤 했습니다. 그 친구는 3개월밖에 안했고, 나는 몇년이나 했는데...나도 열심히 해왔고, 그 생각 때문에 괴로웠고, 이 길이 내길이 아닌가보다 내 자신이 부족한 점만 생각나 ..
Steve Hollasch / Last update 2005-Feb-24 IEEE Standard 754 floating point is the most common representation today for real numbers on computers, including Intel-based PC's, Macintoshes, and most Unix platforms. This article gives a brief overview of IEEE floating point and its representation. Discussion of arithmetic implementation may be found in the book mentioned at the bottom of this article..
- Total
- Today
- Yesterday
- c언어
- SQLite Spy
- 임백준
- 루비
- SDL
- Ruby on Rails
- 조엘 온 소프트웨어
- 리버스 엔지니어링
- TraceRoute
- 루비 온 레일즈
- ruby
- EasyExec
- ftp
- 게임데브포에버
- 좋은 프로그래머
- MS-SQL
- 멀티스레드
- 바로가기 프로그램
- perfmon
- RoR
- svn
- EzShortcut
- CppSQLite
- 게임개발포에버
- 디버깅
- Rails
- 엘키
- NDC2013
- 디자인 패턴
- TD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